맨위로가기

헌종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헌종은 고려의 제14대 왕으로, 선종과 사숙왕후 이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1094년 선종이 죽자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고, 사숙태후가 수렴청정하였다. 1095년 이자의의 난이 숙종에 의해 진압되었고, 같은 해 숙종에게 양위했다. 1097년 1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능은 은릉이다. 1105년에 헌종이라는 묘호와 공상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84년 출생 - 이청조
    이청조는 송나라 시대의 여류 시인으로, 완약파 시풍을 통해 섬세한 감성을 표현했으며, 연애, 자연, 시대적 고난 등을 시에 담아 중국 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084년 출생 - 현공황후
    현공황후는 북송 휘종의 황후로, 휘종의 즉위 전에 혼인하여 황후로 책봉되었고 흠종과 영덕제희를 낳았으며 25세에 사망하여 정화의 시호를 받았고 남송 고종 대에 현공으로 시호가 개칭되어 휘종 묘실에 배향되었다.
  • 1097년 사망 - 미나모토노 쓰네노부
    미나모토노 쓰네노부는 헤이안 시대에 종2위 곤노다이나곤까지 오른 공경이자 가인으로, 고이치조 천황부터 시라카와 천황 시대에 걸쳐 활약하며 시라카와 천황의 신임을 받았고, 시가와 관현, 유직고실에 능통했으며, 후지와라노 킨토에 비견될 정도로 다재다능하여 수많은 가합에 참가해 이름을 알렸고, 『오구라 백인일수』에 와카가 수록되어 있으며, 가론서인 『후습유 문답』과 『난후습유』를 통해 자신의 가론을 펼쳤다.
  • 1097년 사망 - 부르고뉴의 플로린
    11세기 십자군 원정에 참여했다는 전설 속 여성이자 아나톨리아에서 사망했다는 부르고뉴의 플로린은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나 소설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 11세기 한국의 군주 - 현종 (고려)
    현종은 고려 제8대 국왕으로, 왕위에 올라 거란의 침입을 극복하고 국방을 강화했으며, 중앙집권화 추진과 연등회 및 팔관회 부활 등 문화 사업에도 힘썼다.
  • 11세기 한국의 군주 - 덕종 (고려)
    덕종은 고려 제10대 임금으로, 천리장성 축조 시작과 국사 편찬 완료 등의 치적을 남겼으나 아들이 없어 동생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헌종 (고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헌종
한자 표기獻宗
왕욱
출생1084년 8월 1일
출생 장소개경 연화궁
사망1097년 11월 6일 (13세)
사망 장소개경 흥상궁
묘호헌종(獻宗)
시호공상정비대왕(恭殤定比大王)
능호은릉 (隱陵)
왕조
왕가
씨족고려
통치 정보
즉위1094년
즉위 장소개경 중광전
재위 기간1094년 ~ 1095년
폐위 기간1095년 ~ 1097년
전임자선종
후임자숙종
가족 관계
아버지선종
어머니사숙왕후
배우자회순왕후 (논쟁 있음)
자녀없음

2. 생애

1084년 선종사숙왕후 이씨 사이에서 태어난 헌종은 1093년 태자로 책봉되었다. 이듬해 선종이 붕어하자 왕위에 올랐으나, 나이가 어리고 병약하여 어머니 사숙태후가 수렴청정을 하였다. 1095년 이자의의 난이 숙종에 의해 진압된 후, 숙부인 계림공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1097년 14세의 어린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능은 개성 동쪽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은릉이다. 1105년 묘호는 헌종(獻宗), 시호는 공상(恭殤)으로 고쳐졌다.

2. 1. 출생과 즉위

1084년(선종 1년), 개경 연화궁에서 선종사숙왕후 이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1088년(선종 5년), 왕욱(王昱)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 1093년(선종 10년) 3월, 태자로 책봉되어 수춘궁에 기거하였으며, 다음 해에 선종이 붕어하자 즉위하였다. 헌종은 나이가 어리고 소갈증으로 매우 병약하여 어머니인 사숙태후가 수렴청정하였다.

2. 2. 이자의의 난과 양위

1095년(헌종 1년) 이자의한산후 윤을 옹립하려고 했으나 숙부인 계림공 왕희(숙종)에 의해 진압되었다. 같은 해 10월, 헌종은 교서를 내려 숙부인 계림공에게 선위하였다.

2. 3. 사망과 능묘

1097년(숙종 2년) 개경 흥상궁에서 14세의 나이로 승하하였다. 능은 성동의 '''은릉'''(隱陵)이나 현재 위치는 알 수 없고 개성 동쪽에 위치하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첫 시호는 회상(懷殤)이었다.

1105년(예종 즉위년) '''헌종'''(獻宗)의 묘호가 올려지고 시호는 공상(恭殤)으로 개정되었다.

3. 가계

獻宗중국어고려의 제14대 국왕이다. 휘는 욱(昱)이며, 1084년에 태어나 1097년에 사망했다.

구분이름생몰년
조부문종1019년 ~ 1083년
조모인예태후 이씨? ~ 1092년
외조부이석? ~ ?
외조모(정보 없음)(정보 없음)


3. 1. 부모

구분이름생몰년비고
선종1049년 ~ 1094년문종과 인예태후 이씨의 아들로, 고려 제13대 국왕이다.
사숙왕후 이씨? ~ 1107년이석의 딸이다.[4]


참조

[1] 뉴스 "[帝王들의 성공학] 고려 숙종…지지받지 못한 개혁" https://www.chosun.c[...] 2003-02-21
[2] 뉴스 "[帝王들의 성공학] 고려 숙종…지지받지 못한 개혁" https://www.chosun.c[...] 2003-02-21
[3] 문서 선종 10년 음력 3월 1일, 율리우스력 3월 30일
[4] 문서 이자연의 셋째 아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